티스토리 뷰
목차
본인이 군대에 있거나 곧 입대하는 사람이거나 자녀를 둔 부모님이신가요?
정부지원금으로 2025년 군대가 더 이상 경력단절이 아닌 목돈마련의 기회가 된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?
1+1 적금으로 금액이 2배가 되는 장병내일 준비적금의 가입방법, 절차, 유의사항에 필요한 모든 서류 및 정보를 한큐에알아보실수 있도록 모두 알려 들리겠습니다.
자격확인서발급 후 경제적 자립과목돈마련 바로 지원받으시고 친구가족분들께도 공유해 주세요.
[별지 제60호의 23 서식] 장병내일 준비적금 가입자격 확인서(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)
군복무 지원금, ‘장병내일 준비적금’이란?
군 복무 중에도 경제적 자립을 준비할 수 있는 특별한 금융 제도가 있습니다. 바로 장병내일 준비적금입니다.
이 제도는 병사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, 정부가 동일한 금액을 매칭해 지원하는 구조로 설계되어,
복무 기간 중 부담 없는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. 2025년부터는 병장 기준 월급이 150만 원으로 인상되었고,
여기에 정부 매칭 지원금이 더해져 실질적인 수익 효과가 더 커졌습니다
이 적금은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며, 가입 기간은 1개월 이상부터 최대 24개월까지 가능합니다.
2025년 기준으로 월 납입 한도는 55만 원으로 상향되었으며,
이에 따라 병사 본인의 납입액과 동일한 금액을 정부에서 지원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
따라서 병장 기준으로 최대 월 110만 원의 적금을 매달 받을 수 있습니다.
가입대상
국방부(현역, 상근예비역), 법무부(대체복무요원), 병무청(사회복무요원)
병 급여 및 복무관리 체계를 적용받는 자로 한정함 (가입기간) 복무기간별 최대 가입기간 적용
육군·해병대·상근예비역(~18개월), 해군(~20개월), 공군·사회복무요원(~21개월), 대체복무요원(~24개월)
적금 최소가입기간(잔여복무기간)
최소 6개월 이상부터 가입이 가능하며, ’ 24. 6월부터는 최소 1개월 이상부터 가입 가능 (月 적립한도)
[2025년 1월부터] 1인 2 계좌(동일은행 불가), 각 계좌별 최대 월 30만 원, 개인별 최대 월 55만 원 *
납입한도
5만원 단위로 가능(납입한도 중도 변경 불가) (이자) 5% 수준 은행이자(비과세)
기초생활수급자 대상 추가 우대금리(3.0%) : 2개 은행 (IBK기업은행, 국민은행)
제출서류
가입/해지 시 본인의 “사회보장급여 중지 통지서”를 은행에 제출
(제도 시행 이전 가입자도 적금 해지 시 증명서 제철을 통해 우대금리 적용 가능
단, 국민은행은 만기일 전전월까지 증빙서류 제출 필요)
2025년 군인 월급과 지원금—얼마나 받을 수 있나?
2025년부터 병장 월급은 150만 원으로 인상됐으며,
이병 75만 원 → 일병 90만 원 → 상병 120만 원 → 병장 150만 원 순으로 계급별 차등 적용됩니다
따라서 육군·해병대 기준으로 18개월 복무 시 본급 총액은 약 2,500만 원 정도입니다.
여기에 장병내일 준비적금의 정부 매칭 지원금까지 더하면,
매달 본인 저축 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추가로 적립됩니다.
예를 들어, 매월 55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 지원금도 55만 원 추가되고, 연이자를 감안하면
18개월 복무 시 약 2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
가입 방법, 절차, 유의사항 완벽 가이드
가입 대상 | 가입 절차 | 유의사항 |
현역병, 상근예비역, 의무경찰, 의무소방원, 사회복무요원, 대체복무요원 등 병역 이행 중인 병사 모두 가입 가능 |
|
|
◆가입방법
입영 전 준비
입영 전 가입할 은행(2개 이상) 계좌 개설 및 은행 앱 설치(사전 로그인)
가입자격확인서 발급
앱 ‘나라사랑포털’ 설치(가입자격확인서는 입영 후 발급 가능)
입영 시 신분증, 나라사랑카드 휴대 필요
입영 후 4가지 가입방법 중 선택
신병교육기관 교육 중 협약은행에서 부대방문 후 가입절차 진행
교육 종료 후 자대 전입 후 휴가/외출 시 은행 방문 후 대면 가입
현역, 상근예비역 : 국방인사정보체계에서 “가입자격확인서” 발급 *
현역, 상근예비역 | 국방인사정보체계에서 “가입자격확인서” 발급 * |
사회복무요원 | (온라인) 사회복무포털에서 신청, (오프라인) 소속 복무기관 담당자가 발급 * |
대체복무요원 | 소속 복무기관 담당자가 발급 * 2개 은행 가입 시 : 확인서 2부 필요 |
현역, 상근예비역 비대면 가입 | 나라사랑포털 APP 접속 비대면 가입 |
대리자(부모님) 가입 | 가족관계증명서(주민번호 13자리 반드시 포함), 부모님 신분증, 가입자격확인서 지참 후 은행 방문 |
가입 은행별 금리 :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참조 문의 (신청 및 지급 관련 문의 : 국군재정관리단 02-3146-6544, 6545)
은행별 문의하기
KB국민은행1588-9999 | IBK기업은행1566-2566 | DGB대구은행1566-5050 |
부산은행1588-6200 | 신한은행577-8000 | 우리은행1588-5000 |
KEB하나은행1588-1111 | NH농협은행1661-3000 | 수협은행1588-1515 |
광주은행1600-4000 | 전북은행1588-4477 | 경남은행1600-8585 |
◆전역 후 활용 팁 및 추가 혜택
전역 후 목돈 사용 시 선택지가 다양합니다. 먼저 장병내일 준비적금은 전역 직후 해지하여 목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, 이를 기반으로 ISA(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)나 청년도약계좌 등에 재투자하여 추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또한 군 복무 중 성실히 저축 습관을 들였다면, 민간 금융권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받아 전역 후 주택 청약·대출 등에서 유리한 조건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즉, 단순한 복무 수당이 아닌 미래를 향한 자산 형성의 시작점으로 장병내일 준비적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